Expand your Horizons
미래를 향한 도약,
성공적 해외 진출 플랫폼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

gamescom (게임스컴)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

기간
2025.08.20 - 2025.08.24

(개최주기 : 1년)

분야
콘솔∙PC∙모바일 등의 게임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게임 관련 서비스 등
장소
쾰른국제전시장 (Messepl. 1, 50679 Köln)
홈페이지
gamescom-cologne.com
참가사(Exhibitor) 마감
공지사항

신청마감: 2/21 (마감 이후에도 신청 가능하지만, 부스배정 우선권 및 임대비 할인 혜택 상실)

담당자 메일주소
shyu@rmesse.co.kr
안내자료
방문객(Visitors)
공지사항

✅ 입장권 구매 가능 ❗️B2B & B2C

담당자 메일주소
claire@rmesse.co.kr
안내자료

통계

2024년도

참가사

64개국 1,462개사 (해외비중 71%)

방문객

120개국 335,000명

전시면적

230,000 ㎡
2023년도

참가사

63개국 1,227개사 (해외비중 76%)

방문객

100개국 320,000명

전시면적

230,000 ㎡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2번 상세이미지
2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3번 상세이미지
3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4번 상세이미지
4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5번 상세이미지
5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6번 상세이미지
6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게임 전시회7번 상세이미지
7번 전시회 사진

관련산업 소식

세계 최대 게임전시회 “게임스컴(gamescom)” 오는 8월 개최… 입장권 구매 시작, 주말권 조기 매진 예상
2025.04.11
세계 최대 게임전시회 “게임스컴” 오는 8월 개최… 입장권 구매 시작, 주말권 조기 매진 예상 - 오는 8월 20일부터 24일 독일 쾰른 개최 - 전야제 ONL 19일, 컨퍼런스 Congress 21일, 시티 페스티벌 23일~24일 진행 - 비즈니스 방문객은 20일부터, 일반 방문객은 21일부터 입장 가능 - B2B 입장권 구매 시 평일 B2C관 입장 포함… 주말권 별도 구매 - ONL과 와일드카드 포함한 입장권 패키지 옵션  - 전시장 도보 10분 거리, 게임스컴 캠핑장 마련… 셔틀버스 운행 - 더위쳐3 10주년 월드투어 콘서트 8월 20일 예정  - 입장권 구매 시, 지역 대중교통증 제공    세계 최대 게임전시회 게임스컴(gamescom) 2025 입장권 판매가 시작됐다. 게임스컴은 120개국에서 33만 5천 명이 방문하는 전 세계 게이머들의 축제다. 게임스컴은 일반 관람객(B2C)과 게임 산업 관계자(B2B)를 아우르는 복합 행사로, 글로벌 게임 팬은 물론 게임 퍼블리싱 및 플랫폼 사업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목적을 가진 업계 방문객들도 대거 방문한다. 특히 B2B 방문객만 매년 약 3만 명에 달할 만큼, 세계 게임 산업의 중심지로서 확고한 위상을 자랑한다.       B2B관은 8월 20일(수)부터 22일(금)까지 운영되며, B2C관인 Entertainment 관은 8월 21일(수)부터 24일(일)까지 방문할 수 있다. 게임스컴 전야제이자 1억 뷰를 기록한 ONL(Opening Night Live)은 8월 19일에 진행된다. 그 외 게임 산업 주요 키워드를 살펴보는 게임스컴 Congress는 21일(목), 쾰른 도심에서 진행되는 축제 City Festival은 주말인 23일(토)과 24일(일)에 진행된다.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출시 10주년 기념 월드 투어 콘서트도 게임스컴에서 만나볼 수 있다. 8월 20일 진행되는 콘서트는 더위쳐3 OST 작곡을 맡은 마르친 프쉬비워비치이 직접 지휘하고 시네마틱한 연출을 통해 몰입감을 더할 예정이다.    일반 방문객을 위한 입장권은 1일권과 오후 4시 이후 입장 가능한 After 4 입장권 두 가지가 제공된다. 해당 입장권으로는 B2B관을 제외한 게임스컴 전 구역에 입장할 수 있다. 학생일 경우,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입장 시 학생증을 제시해야 한다.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할인 패키지도 제공된다. 최소 성인 1명과 7세에서 12세 이하 어린이 1명을 포함할 경우 구매 가능하며 최대 5인까지 사용할 수 있다.      올해 게임스컴 입장권은 더욱 풍성한 패키지와 옵션을 제공한다. 와일드카드(Wild Card)는 B2C 개막 전날인 20일(수) 입장할 수 있는 입장권으로, 한정 수량 판매된다. 슈퍼팬 패키지 플러스(Superfan Bundle Plus)는 ONL 입장권, 와일드카드, 그리고 게임스컴 캠프 숙박 1박권으로 구성된다. 매년 치열한 티켓팅으로 빠르게 매진되는 Opening Night Live(ONL) 입장권이 포함되어 있어, 이번 패키지에 대한 게임 팬들의 관심이 뜨겁다. 슈퍼팬 패키지는 게임스컴 캠프 숙박 1박권을 제외하고 ONL 입장권과 와일드카드로 구성된다.    B2C관 관람을 위한 주말 입장권은 통상 높은 수요로 인해 조기 마감되므로, 빠른 예매가 권장된다. 모든 입장권은 온라인을 통해서만 구매할 수 있으며, 현장 판매는 진행되지 않는다.      비즈니스 방문객을 위한 입장권은 1일권과 시즌권(3일)으로 구성되며, B2B 개최 기간 B2C 구역 입장을 포함한다. 단, 주말 입장권(B2C)은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 게임스컴 비즈니스 입장권 구매 시, 비즈니스 방문 목적임을 입증하는 사전 인증 절차가 필요하며 최대 48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으므로 사전 구매를 권장한다.    게임 개발자를 위한 컨퍼런스 데브콤(Devcom)은 8월 18일(월)과 19일(화) 개최되며, 게임스컴 B2B 3일 입장권이 포함된 5일 입장권 패키지도 마련된다. 해당 패키지에는 월요일 오후 진행되는 네트워킹 파티와 화요일 저녁 진행되는 “개발자의 밤(Developer Night)” 입장권도 포함된다.      게임스컴은 Xbox, 블리자드, EA, 반다이남코, 호요버스, 플레이온 등 64개국 1,462개 사가 참가하는 세계 최대 게임 행사다. 지난해 국내 게임업계 3대천왕 넥슨, 크래프톤, 펄어비스가 참가해 더욱 화제였다. 올해 참가사 리스트는 아직 공개 이전이다.    게임스컴 입장권 구매에 관한 문의는 주최사 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02-798-4105, claire@rmesse.co.kr)에 할 수 있다.   
세계 최대 게임전시회 ‘게임스컴(gamescom)’, 부산 지스타 2024 B2B 부스 참가
2024.11.05
세계 최대 게임전시회 ‘게임스컴’, 부산 지스타 B2B 부스 참가     세계 최대 게임전시회로 알려진 독일 쾰른 ‘게임스컴(gamescom)’이 오는 14일부터 1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지스타 2024’에 B2B 부스로 참가한다. 게임스컴 한국대표부는 지스타 부스를 통해, 내년 8월에 개최될 게임스컴에 대해 소개하고 국내 게임사들의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게임스컴은 매년 여름 독일 쾰른에서 개최되는 게임전시회로, 게임산업 최대 행사로 손꼽힌다. 특히 B2B와 B2C 모두 개최되어, 현장에서 플레이어 호응을 끌어내어 비즈니스 성과까지 극대화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지닌 플랫폼이다.      게임스컴이 게임 시장에 미칠 영향력은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지난 8월 개최된 게임스컴 2024는 64개국 1,462개 사 참가로, 지난해 대비 무려 20% 증가해 역대 최다 참가사 수를 기록했다. 매회 개최 규모가 큰 폭으로 확장되고 있는 점은 차기 전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대목이다.    사실상 유일무이한 글로벌 종합 게임쇼인 만큼, 게임스컴은 두터운 팬층을 형성하고 있다. 올해 120개국 335,000명이 방문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약 1만 5천여 명이 증가한 수치다. B2B 방문객만 3만 2천 명으로, 업계 관계자라면 빠질 수 없는 행사임을 입증했다.      국내에서는 넥슨, 크래프톤, 펄어비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경기콘텐츠진흥원 공동관 참가사를 포함해 총 33개 사가 참가했다. 크래프톤은 한국 참가사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부스 크기로 첫 선을 보여 더욱 강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차기 게임스컴은 2025년 8월 20일부터 24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전 세계적인 게임 런칭쇼 게임스컴 ONL(Opening Night Live), 게임 업계 최대 관심사 게임스컴 어워즈, AMD와 HP가 칼 갈고 준비했던 이벤트 아레나(Event Arena), 1일 조회수 3억 뷰를 기록한 온라인 라이브 쇼 등 게임스컴은 온오프라인을 다각도로 활용하여 전시 참가 성과를 극대화할 참가 옵션을 제공한다.    게임스컴 2025 참가 신청은 이달 말 시작된다. 게임스컴 전시 전반 및 참가에 관한 사항은 주최사 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에 문의할 수 있다.     
전세계 게임업계를 뜨겁게 달군 게임스컴(gamescom) 2024, 다시 보는 하이라이트!
2024.09.17
전 세계 게임업계를 뜨겁게 달군 게임스컴(gamescom) 2024, 다시 보는 하이라이트! - 64개국 1,462개 사가 참가, 작년 대비 19% 증가 - 120개국 335,000명이 방문, 이 중 B2B만 3만 2천 명 - 화려했던 엔터테인먼트홀; Xbox 사상 최대 규모 부스 선보여 - 눈물의 신작 공개, 게임스컴 전야제 ONL - 게임스컴 어워드 4관왕 ‘몬스터 헌터’, 3관왕 ‘리나메’  - 한국 게임사들의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돋보여; 넥슨, 크래프톤, 펄어비스 포함 33개사 참가   게임스컴 2024가 역대 최다 참가사 수를 경신했다. 지난해에 비해 참가사 수는 19% 증가해 역대 최대 전시 규모를 선보였다. 해외 비중 71%에 달하는 64개국 1,462개 사가 참가했고 37개국 48개 공동관은 세계적 규모의 게임쇼를 체감케 했다.  120개국 335,000명이 방문해, 전체 방문객 수는 전년 대비 약 1만 5천여 명 증가했다. 비즈니스를 위해 방문한 퍼블리셔와 바이어만 3만 2천여 명이었고, 북미 방문객이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굵직한 글로벌 게임사들의 대대적인 출격에, 금요일과 토요일 입장권은 일찌감치 매진이었다. 입장권이 없어서 방문을 못하게 되자, 게임스컴 온라인 라이브 방송 조회수는 토요일 하루 동안만 무려 3억 뷰를 기록했다.   별들의 잔치, 엔터테인먼트홀  “지금까지 중 가장 큰 규모의 참가가 될 것(Biggest booth yet)”이라 예고했던 Xbox는 한 개 홀 절반에 가까운 전시 부스를 선보였다. 베데스다, 블리자드, 포커스 엔터테인먼트, 리벨리온 게임즈가 함께 운영한 전시 부스는 시연대와 특별 극장으로 구성돼 몰입감을 더했다. Xbox는 올해 게임스컴 어워드에서 최고의 부스 디자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일레트로닉 아츠는 전시장 한 가운데에 축구 경기장을 조성했다. 천장에 달린 3개의 대형 스크린 아래 ‘FC 25’ 축구장을 연상케 한 시연대는 현장감 있는 플레이 경험을 제공했다. 플레이온은 ‘킹덤 컴:디리버랜스’의 배경을 그대로 재현해 화제였다. 중세 시대를 사실적으로 표현해 인기를 끌었던 게임인 만큼, 세세한 디테일이 돋보이는 전시 부스는 단언 시선을 사로잡았다.     반다이남코는 ‘리틀나이트메어 3’와 ‘드래곤볼! 스파킹 제로’의 주역을 부스 앞에 세웠다. 올해 게임스컴 어워드 3관왕의 수상 영예를 안은 ‘리틀나이트메어3’의 인기에 힘입어, 괴물아기 ‘디오라마’와 사진을 찍기 위한 인파가 끊임없이 몰렸다. 매해 풍성한 사은품 이벤트를 마련해 반드시 들려야 할 부스 중 하나로 소문이 난 ‘자이언츠 엔터테인먼트’는 올해도 꽉 찬 행사 일정으로 숨 돌릴 틈이 없었다.    정계 인사까지 등장한 게임스컴 오프닝쇼 로버트 하벡 독일 부총리 겸 경제 기후 보호부 장관과 헨드릭 뷔스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총리, 헨리에테 레커 독일 쾰른 시장이 게임스컴 개최 축하를 위해 나섰다. 게임스컴 오프닝쇼는 개최 첫날 진행되는 비공개 행사로, 게임 산업을 이끌어가는 주요 기업 CEO와 임원진이 참석하고, 주요국 정·재계, 시민사회 인사들이 자리를 함께한다.      지난 6월 20일 독일경제사절단 대표로 방한했던 로버트 하벡 부총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조연설을 맡았다. 로버트 하벡 부총리는 “비디오 게임 산업은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큰 중요성을 지닙니다. 높은 혁신성과 창의성을 촉진한다는 점에 따라, 독일 연방 경제기후보호부는 대규모 투자를 지속해 오고 있습니다. 독일은 게임산업의 중심지로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방침입니다.”라며 게임산업 발전에 대한 독일 정부의 의지를 강조했다.      ‘게임스컴 ONL(Opening Night Live)’, 올해 유독 특별했던 이유 게임스컴 전야제 ONL(Opening Night Live)의 열기는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대대적인 신작 공개와 신규 업데이트 소식을 발표하는 세계 최대 행사로 손꼽히는 만큼, 약 5천 명의 현장 관객에 더해, 온라인 동시 생중계를 통해 4천만 명 이상 시청했다.    블리자드의 ‘콜오브듀티’, 펀컴의 ‘듄: 어웨이크닝’, 캡콤의 ‘몬스터헌터와일드’, 24엔터테인먼트 ‘나라카:블레이드포인트’, 2K-파이락시스의 ‘문명7’, Xbox의 ‘인디아나존스’ 등 전 세계가 목이 빠져라 기다려온 신작 발표와 출시 소식이 연이어 공개됐다.   국내 게임사들도 출사표를 던졌다. 넥슨은 신작 ‘퍼스트 버서커:카잔’ 트레일러를 공개했다. 쟁쟁한 대작들 속에서도, 영상 속 화려한 그래픽은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크래프톤은 ONL 사전 라이브쇼(Pre Show)에서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를, 본 행사에서 모바일 익스트랙션 ‘다크앤다커’를 소개했다. 올해 ONL은 실무자의 노력과 경력이 유독 돋보였다. ‘링크드: 배너 오브 더 스파크’의 퍼지봇 창립자 맥스 스필버그(Max Spielberg)는 “꿈을 이룬 자리”라며 ONL 무대에 올라선 소감을 전했다. 넷플릭스 ‘러브, 데스, 로봇’ 제작으로 이름을 알린 블러 스튜디오는 플레이스테이션 대표작과 14개 비디오 게임 IP를 활용한 프라임 비디오 시리즈 ‘시크릿 레벨’ 개봉 소식을 전했다. 팀 밀러(Tim Miller) 총괄 프로듀서는 ‘시크릿 레벨’을 소개하며, 3년 간의 제작 기간을 회상하는 눈물을 보였다. 게임업계 전설이자 일명 ‘갓게임’ 장르의 창시자, 세계 3대 게임 개발자 피터 몰리뉴(Peter Molyneux)가 ‘마스터스 오브 알비온’을 소개하기 위해 무대에 오르자, 존경 섞인 뜨거운 함성과 박수가 쏟아지기도 했다.   그래서, 올해의 게임은? 게임스컴 어워드 올해 게임스컴의 주인공은 단언 캡콤의 ‘몬스터 헌터 와일즈’였다. 스토리텔링, 흥미, 플레이스테이션 플랫폼 게임, 트레일러 부문에서 최고의 게임으로 선정되어 무려 4관왕을 달성했다.    반다이남코의 ‘리틀나이트메어3’는 그래픽, 음향, 그리고 Xbox 플랫폼 게임 부문에서 최고의 게임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최고의 트레일러로 선정된 데에 이어, 올해는 3관왕을 달성해 플레이어의 기대감을 한층 고조시켰다.    이외에도 11비트 스튜디오의 ‘프로스트펑크2’와 인버지 스튜디오가 함께 개발한 ‘크리쳐스 오브 아바’, 젠틀 트롤 엔터테인먼트의 ‘태번 토크’, 플레이온과 워호스 스튜디오의 ‘킹덤 컴: 딜리버런스’, 호요버스의 ‘원신’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삼성·LG 전자부터 넥슨·크래프톤·펄어비스, 오버워치까지 합세했다 “글로벌 경쟁력 높인 Korea” 게임스컴 2024 국내 참가사는 총 33개 사로, 넥슨·크래프톤·펄어비스·삼성·LG 전자 등 유수의 기업이 해외 공략을 위해 참가했다. 넥슨의 대형 LED 화면을 통해 나타난 ‘카잔’의 모습은 게임 팬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다. 펄어비스는 지난 해 ONL에서 신작 ‘붉은사막’ 트레일러 공개 후 이번 게임스컴에서 처음으로 시연 버전을 공개했다. 붉은사막 오픈월드를 연상하게 하는 입구는 직접 플레이해 보기 위한 대기 줄로 북적였다.       크래프톤은 ‘다크앤다커 모바일’과 ‘인조이’로 화려한 첫발을 내딛었다. 역대 한국 참가사 중 가장 큰 규모의 부스 크기를 선보인 크래프톤은 수 십 대의 시연 기기를 설치해 플레이어 경험을 최대화했다. 오크를 앞세운 ‘다크앤다커’ 전시 부스와 천장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대형 고양이 마스코트 ‘프시캣’은 게임 특성이 돋보여 더욱 흥미를 높였다.       인디게임 ‘안녕 서울’을 선보인 네오위즈, VR 게임용 글로브와 수트를 선보인 비햅틱스, 카카오게임즈 자회사 오션드라이브스튜디오, 지난해에 이어 연속 참가를 한 하이브IM 등 전 분야에서 국내 게임사의 활약이 돋보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과 경기콘텐츠진흥원(GCON)이 운영하는 B2B 공동관에는 18개 기업이 참가해 한국 콘텐츠 산업의 저력을 선보였다. 매해 신기록을 달성하고 있는 세계 최대 게임 전시회 ‘게임스컴’의 차기 전시는 2025년 8월 20일부터 24일 개최 예정이다. 게임스컴 참가에 관한 문의는 ㈜라인메쎄(02-798-4105, shyu@rmesse.co.kr)에 할 수 있다. 

더 보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