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d your Horizons
미래를 향한 도약,
성공적 해외 진출 플랫폼

독일 쾰른 스포츠∙레저 시설 전시회

FSB (에프에스비)

독일 쾰른 스포츠∙레저 시설 전시회

독일 쾰른 스포츠∙레저 시설 전시회

기간
2025.10.28 - 2025.10.31

(개최주기 : 2년)

분야
스포츠 시설 (실내/실외), 공공수영장, 놀이터 및 여가시설 기획 및 건설, 도시설계 및 조경 등
장소
koelnmesse
홈페이지
fsb-cologne.com
참가사(Exhibitor) 마감
공지사항

참가신청: 25/1/31 까지 (기한 이후에도 신청 가능하지만, 배정 우선권 및 임대비 할인 혜택 상실)

담당자 메일주소
shyu@rmesse.co.kr
안내자료
방문객(Visitors)
담당자 메일주소
claire@rmesse.co.kr
안내자료

통계

2023년도

참가사

45개국 824개사 (해외비중 81%)

방문객

123개국 25,000명 (해외비중 60%)
2019년도

참가사

43개국 565개사 (해외비중 81%)

방문객

128개국 28,600명 (해외비중 67%)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스포츠∙레저 시설 전시회2번 상세이미지
2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스포츠∙레저 시설 전시회3번 상세이미지
3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스포츠∙레저 시설 전시회4번 상세이미지
4번 전시회 사진
독일 쾰른 스포츠∙레저 시설 전시회5번 상세이미지
5번 전시회 사진

관련산업 소식

세계 최대 가구기자재전 ′interzum 2025′, 오는 5월 미래를 위한 가구 솔루션을 제시하다
2025.03.06
  세계 최대 가구기자재전 인터줌 2025, 오는 5월 미래를 위한 가구 솔루션을 제시하다 -      독일 쾰른, 5월 20일~23일 개최 -      핵심 주제는 “자원 재고찰”, 순환 경제와 바이오 솔루션에 주목 -      3가지 테마의 전시공간; Function & Components, Textile & Machinery, Materials & Nature -      올해도 글로벌 리딩 기업 빠짐없이 참가 - 헤펠레, 헤티히, 베카르테슬리, 오르사 폼, 레하우, 에거 등 -      국내에선 LX 하우시스, 현대 L&C 포함 13개 사 참가 -      지난회 LG,대우건설, 대원가구, 시몬스, 신세계 까사, 일룸, 에이스침대, 한샘, 한솔 등 국내 주요 기업 약 200개사 방문 -      입장권 구매시 전시기간 대중교통증 제공   세계 최대 가구기자재전 인터줌(interzum)이 오는 5월 20일부터 23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세계 경제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빠짐없이 참가한다. 인터줌 2025는 전 세계 가구 및 인테리어 산업의 허브로서 지속 가능한 솔루션과 혁신을 선보일 방침이다.   인터줌은 지난 회 59개국 1천6백 개 사가 참가하고 150개국 6만 2천 명의 바이어가 방문해 업계 회복의 신호탄을 울렸다. 당시 국내에서도 LG, 대우건설, 시몬스, 신세계 까사, 일룸, 에이스침대, 한샘, 한솔 등 주요 기업 약 200개사가 방문해, 국내에서의 명성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인터줌 2025의 3가지 테마 인터줌 2025 전시장은 3가지 테마, Function & Components, Textile & Machinery, Materials & Nature로 구성된다. 각 테마에서 주목해야 하는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특별존 “Trend Forum”도 련해 시너지를 더한다.    “Function & Components” 부문은 에너지 효율, 편의성, 기능성을 강화하는 가구 부품, 조명, 반제품 가구를 아우른다. 레깃 앤 플랫(Leggett & Platt Work Furniture), 블룸 (Blum), 사멧 (Samet), 살리체 (Salice), 슈코 (Schüco), 헤펠레 (Häfele), 헤티히 (Hettich) 등 하드웨어 및 시스템 분야 리딩 기업이 한 데 모인다. “Textile & Machinery”에서는 매트릭스, 섬유, 가죽과 생산 기계의 최신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네베온 (Neveon), 베카르테슬리 (BekaertDeslee), 보이텍스 (Boyteks), 스텔리니 (Stellini), 오르사 폼 (Orsa Foam), 조와트 (Jowat), 카펜터 (Carpenter) 등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기업을 만나볼 수 있다. “Materials & Nature”는 레하우 (Rehau), 샤트데코 (Schattdecor), 소네 아라우코 (Sonae Arauco), 수르테코 (Surteco), 에거 (Egger) 등 친환경 목재와 마감재 대표 브랜드가 신제품을 선보인다.   국내에서는 LX 하우시스, 다원체어스, 데코벨리, 삼홍사, 세원정공, 신일프레임, 윈텍스, 제이케이씨, 코인텍, 포레스코, 한국가스스프링, 현대 L&C, 화인인더스트리가 참가해 수출 강화에 나선다.   “자원 재고찰 – 순환 및 바이오 솔루션” 2025년의 핵심 주제는 “자원의 지속가능성 재고찰”이다. 2023년의 "신생태주의(Neo-ecology)"에 이어, 순환 경제와 바이오 솔루션에 주목함으로써, 가구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할 전망이다.   특별 전시장 “Rethinking Resources Boulevard”은 지속가능한 제품과 솔루션을 소개한다. 친환경 제조 공정을 거친 제품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특별 전시장은 북쪽 입구(Entrance North) 앞에 마련된다. 해당 전시장에서는 혁신제품 어워즈 수상작도 전시된다. 혁신 제품 어워즈는 Function & Components, Materials & Nature, Textile & Machinery, Rethinking Resources 네 가지 분야에서 뛰어난 아이디어를 선정해, 업계 트렌드를 집약적으로 제시한다.    이외에도 2025 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interzum Trend Stage”와 참가사가 직접 제품을 설명하는 “interzum Product Stage”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풍성함을 더한다.      티켓 한 장으로, 쾰른에서 하노버까지! 1 Ticket & 2 Inspiration! 인터줌 2025 입장권을 통해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되는 목재산업 전시회 ‘LIGNA(리그나)’도 방문할 수 있다. 인터줌 종료 3일 후 개최되는 LIGNA는 26일부터 30일까지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된다. 두 개의 전시회를 한 번에 살펴봄으로써, 혁신적인 기술, 지속 가능한 솔루션, 디지털 발전 및 최신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쾰른과 하노버를 연속적으로 방문함으로써 비즈니스 극대화할 방침이다.   세계 최대 가구기자재전 인터줌(interzum) 2025 참관 관련 문의는 주최사 쾰른메쎄의 한국대표부 라인메쎄㈜(02-798-4105, claire@rmesse.co.kr)에 할 수 있다.  
국제 B2B 승마용품 전시회 ‘spoga horse 2025’, 글로벌 승마 산업의 중심축으로서 입지 굳혔다
2025.03.05
국제 B2B 승마용품 전시회 ‘spoga horse 2025’, 글로벌 승마 산업의 중심축으로서 입지 굳혔다 - 33개국 약 440개 사 참가, 77개국 8,500명 이상의 바이어 방문 -제시카 폰 브레도우-베른들(Jessica von Bredow-Werndl) THE STAGE 강연 -약 350명의 승마 인플루언서의 방문 -차기 전시, 2026년 2월 7일부터 9일까지 개최 예정    국제 B2B 승마용품 전시회 스포가홀스(spoga horse) 2025가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33개국에서 약 440개 사가 참가했고 77개국에서 8,500명 이상의 바이어가 방문했다. 참가사와 방문객 모두 지난해 대비 약 10% 증가해 활발한 비즈니스가 펼쳐졌다. 방문객 해외비중은 58%였으며, 참가 업체 해외 비중도 76%에 달했다. 스포가홀스는 단순한 승마 레저 전시회를 넘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파트너쉽을 형성하는 중요한 플랫폼임을 입증했다.     스포가홀스는 다양한 볼거리와 이벤트존으로 업계 관계자의 호평을 샀다. 올림픽 독일 국가대표 금메달리스트 승마선수 제시카 폰 브레도우-베른들(Jessica von Bredow-Werndl)가 THE STAGE 강연에 참여해 스포가홀스의 시작을 알렸다. 특별전시장 ‘EQUI LIVING’은 "어린이들이 어떻게 승마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며, 승마 산업의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접근을 모색했다.    약 350명의 승마 인플루언서의 방문도 화제였다. 글로벌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참가 성과를 극대화하기도 했다.       올해 스포가홀스에 대한 참가사의 긍정적인 평가도 이어졌다. ‘카스크(KASK)’의 총책임자 Diego Zambon는 “글로벌 고객과의 유대감을 더욱 강화할 수 있었다."라고 호평했으며, ‘프레스티지 이탈리아 (Prestige Italia)’의 CEO Andrea Rasia는 “전시회 운영이 매우 체계적이었으며, 업계 전문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스포가홀스 주최사 쾰른메쎄는 “승마 산업의 모든 주요 플레이어를 한자리에 모아, 2026년에는 국제적인 네트워크 확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라며 2026년의 포부를 밝혔다.    독일 승마용품 전시회 스포가홀스(spoga horse)는 2026년 2월 7일부터 9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참가 관련 문의는 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02-798-4102, shyu@rmesse.co.kr)에 할 수 있다.     
2025 뒤셀도르프 보트쇼, 요트·보트·서핑·다이빙까지! 9일간의 대장정 성황리 종료
2025.02.05
  2025 뒤셀도르프 보트쇼, 요트·보트·서핑·다이빙까지! 9일간의 대장정 성황리 종료 -      113개국 20만 명 방문, 미래 수상레저 산업 전망 조명 -      전 세계 67개국 1,500개 이상 기업 참가 -      지속가능성 및 해양보호 논의도 활발 -      차기 전시회 2026년 1월 17일 – 25일 개최     지난 1월 18일 개막한 세계 최대 수상 스포츠 박람회 ‘뒤셀도르프 보트(boot Düsseldorf 2025)’가 1월 26일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67개국 1,500개 기업이 참가하고 방문객은 20만 명을 넘어서는 등 세계 최대 전시회로서의 입지를 견고히 다졌다. 참가사 및 방문객 해외 비중은 63%로 집계됐다. 방문객이 가장 많았던 국가는 네덜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터키, 스위스 순이다.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북미 및 아시아 지역 방문객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수상 스포츠 업계 최신 트렌드 집중 조명 보트, 요트, 세일링, 서핑, 다이빙, 해양 관광 및 차터 산업까지 다양한 품목이 전시됐다. 신제품 프리미어, 다양한 제품을 기대하며 방문한 참관객의 94%가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참가 기업의 반응도 뜨거웠다. 세계적 수상레저기업 프랑스의 베네토 그룹의 지로티 대표는 “베네토 First 30, 프레스티지 F4.3을 비롯한 14종의 신제품이 큰 주목을 받았다. 뒤셀도르프 보트는 업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 행사”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덴마크의 X Yachts 사 역시 “부스를 방문한 인원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XR 41을 향한 호응이 인상적”이라 밝혔으며, 이탈리아 다이빙 및 수영 장비 업체 크레시(Cressi)는 “전시 기간 내내 해외 고객들의 관심이 끊이지 않았다”며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보트를 높이 평가했다.     ‘지속가능성’, ‘해양보호’ 다룬 다양한 전문 행사 보트 뒤셀도르프는 전시회 개최를 뛰어넘어 해양보호에 앞장서고 있다. 블루 이노베이션 독(Blue innovation dock)은 산학연관을 위한 지속가능성 포럼으로, 대체 추진 기술, 친환경 소재, 해양 인프라 개선 등이 논의됐다. 또한 ‘Love Your Ocean’ 캠페인을 전 세계 80개 환경단체들과 800sqm 규모의 공간에서 조직했으며, ‘오션 트리뷰트 어워드’를 통해 해양 보전에 앞장선 인물과 기업을 집중 조명했다.     17홀 서핑관, 열광적 호응 끌어내 보트 전시장 17홀에서 서핑, 웨이크보드, 스킴보드, 윙 & 펌프 포일링, SUP, 프리스타일 토잉 등 6개의 국제 수상레포츠 대회가 진행돼 많은 관중을 끌어 모았다. 참가사 역시 서핑 및 전동 포일링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는 호평을 전했다.     boot 2026, 한국 기업 글로벌 도약 위한 발판 기대 이번 전시회에 국내 수상레저 전문가와 업계 종사자들도 적극 참여했다. 이들은 요트 및 보트 기술 개발, 친환경 해양 장비, 전동 모터 보트 등 미래형 수상레저 트렌드를 직접 확인하며 비즈니스 기회를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최근 한국에서도 정부의 해양관광 활성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어, 관련 산업 부흥이 예상된다. 해외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우리 기업에게 boot 전시회는 최고의 글로벌 네트워크 및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뒤셀도르프 보트 차기 전시회는 2026년 1월 17일부터 25일까지 개최된다. 전시 참가를 원하는 기업은 오는 5월부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부스 참가 및 방문 관련 문의는 공식 한국 대표부 라인메쎄를 통해 가능하다. (info@rmesse.co.kr, 02-798-4343)    

더 보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