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d your Horizons
미래를 향한 도약,
성공적 해외 진출 플랫폼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

ProWine Sao Paulo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

기간
2025.09.30 - 2025.10.02

(개최주기 : 1년)

분야
와인, 스피릿, 주류
장소
Expo Center Norte
홈페이지
prowinesaopaulo.com/en
참가사(Exhibitor)
담당자 메일주소
Kyui@rmesse.co.kr
안내자료
방문객(Visitors)
안내자료

통계

2023년도

참가사

26개국 500개사

방문객

0개국 10,500명

전시면적

전시회 사진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2번 상세이미지
2번 전시회 사진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3번 상세이미지
3번 전시회 사진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4번 상세이미지
4번 전시회 사진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5번 상세이미지
5번 전시회 사진
브라질 상파울루 와인 스피릿 전시회6번 상세이미지
6번 전시회 사진

관련산업 소식

세계 주류의 미래를 찾다, 독일 “ProWein 2025 (프로바인)” 성공 개최 예고
2025.01.03
세계 주류의 미래를 찾다, 독일 “ProWein 2025 (프로바인)” 성공 개최 예고 - 65개국 5000개 사, 500개 재배지 (스피릿 분야 53개국 400개 사 - 신선한 포맷과 혁신적인 전시 구성: 더욱 확장된 ‘스피릿’, ‘제로’ 주류 - 국제성, 규모 1위에 빛나는 유일무이한 전시회에 최신 트렌드 종합 - 업계 리더와 함께하는 비즈니스 포럼과 마스터 클래스       "내일의 와인 향을 만나다"라는 모토 아래 ProWein은 새로운 전시장 구성과 더불어 신선하고 감각적인 전시를 선보인다. 이번에도 전 세계의 와인과 스피릿이 뒤셀도르프로 모여든다. ProWein포럼은 업계의 당면 과제를 다루면서 상호 교류를 촉진한다. 이 밖에도 다양한 부대행사는 어느 때보다도 방문객의 흥미를 자극할 것이다. ProWein은 2025년에도 국제 와인 및 스피릿 업계의 정상회담장이 된다. 와인과 스피릿을 선보이는 참가사 출신국만 해도 60개국이다. 여기에 새로운 ‘비즈니스 포럼(Business Forum)’이 중심 역할을 할 것이다. 기존 ProWein 포럼은 확장된다. 업계 당면 과제를 다룰 전문 강의가 고품격 마스터 클래스와 제공된다. 이는 ProWein에서 업계 리더들 및 전문가들과 네트워킹할 기회가 더욱 늘어남을 의미한다. 페터 슈미츠 ProWein 이사는 “어려운 시기임에도, 아니면 바로 그런 시기라는 것 때문에 ProWein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우리는 업계가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서비스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전 세계의 와인과 스피릿이 한 자리에 – 새롭고 신선한 구성 참가사 배정의 마지막 승인 절차가 남아 있으나, ProWein 2025의 결과가 매우 훌륭할 것이라는 점은 이견이 없다. 업계는 비즈니스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새로운 레이아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방문객들은 11개 전시홀에서 “내일의 와인 향을 만나다”라는 모토 아래 전 세계 와인과 스피릿을 경험하게 된다. 독일 와인은 전시장 1홀과 4홀을 사용하며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낼 것이다. 독일의 모든 와인 산지, VDP(독일 우수와인생산자협회), MUNDUS VINI 테이스팅 존 및 미식회 라운지 "urban gastronomy by #asktoni & ProWein" 등을 모두 이 두 개의 홀에서 만나볼 수 있다. 다수의 개별 참가사와 협회로 구성된 대규모 유기농 특별전 “오가닉 월드(Organic World)”, Fair and Green(지속가능한 포도재배를 위한 협회)’의 “CARLO – 지속가능성 특별상” 시상은 해당 산업에 새로운 추진력을 제공할 전망이다. 현재 무/저 알코올 세그먼트에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ProWein Zero 구역이 지난 번과 비교해 50% 확장되었다. 새로운 전시장 레이아웃 도입의 결과 “컨셉스토어(와인과 스피릿 마케팅 활동에 대한 특별전)” 및 “패키징 & 디자인 특별전”이 이번에 4홀로 이전된다. 이탈리아는 세계 최대의 와인 생산국으로, 유럽에서 가장 다양한 포도 품종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15, 16홀에 배정된 “벨라 이탈리아”는 이러한 규모와 다양성에 어울리는 존재감을 드러낸다. 참가 기업들의 포트폴리오는 소규모 부티크 와이너리, ProWein 첫 참가 기업,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업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이탈리아의 20개 와인 산지와 함께 이탈리아 무역공사(ITA/ICE)가 전시에 참여한다. 무역공사는 마스터클래스와 무료 테이스팅 등 광범위한 부대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10홀을 배정받은 프랑스는 엄선된 와인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그 중에서도 “샴페인 라운지”, ProWein Monday에 열리는 “보르도 그랑크뤼 협회”의 테이스팅, Business France가 주관하는 “프랑스 포럼” 등이 주목할 만하다. 모든 와인 산지가 제품을 전시하며, 카스텔 프레르(Castel Frères), 알베르 비쇼(Albert Bichot), 부아세(Boisset), 제라르 베르트랑(Gérard Bertrand) 등의 마켓 리더들도 참여한다. 샴페인 라운지 외에도 니콜라 푀이야트(Nicolas Feuillatte), 샹파뉴 파니에(Champagne Pannier), 로랑 르카르(Laurent Lequart), 샹파뉴 랄리에(Champagne Lallier), 샹파뉴 마이이(Champagne Mailly) 같은 샴페인 명가들도 전시를 결정했다. 스페인 역시 순항 중이다. 미겔 토레스(Miguel Torres), 코도르니우(Codorníu), 마르케스 데 카세레스(Marqués de Cáceres), 가르시아 카리온(García Carrion), 스패니시 파인 와인즈(Spanish Fine Wines), 페레 벤투라(Pere Ventura), 펠릭스 솔리스(Félix Solís) 같은 유명 와이너리들이 전시를 확정했고, 발렌시아(Valenciana), 카스티야 이 레온(Castilla y León) 등 다양한 지역이 참여한다. ICEX와 라 리오하(La Rioja)의 대대적인 참여도 눈에 띈다. 12홀에서는 신대륙 와인의 세계가 다채롭게 펼쳐진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 워싱턴, 오리건 주가 참가하며, 남미에서는 칠레,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가 참여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다수 와이너리도 함께할 것이다. 이밖에 오세아니아에서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동참하며, 아시아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을 대표로 다수의 기업이 참가한다. 포르투갈의 모든 와인은 9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중유럽 및 동유럽 국가들도 여기서 적극적으로 전시를 펼칠 예정으로, 15개국의 다양한 제품이 선보일 것이다. 그리스는 자리를 옮겨 앞으로는 오스트리아와 함께 17홀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25 이끌 트렌드 스피릿 스피릿 분야 역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ProWein 2024에서 성공적으로 출범한 ProSpirits 브랜드 월드가 다시 한 번 5홀에서 성공 스토리를 이어간다. 전통적인 제품뿐만 아니라 위스키, 저 알코올, 럼, 과일 브랜디 등 트렌드 주류가 중점적으로 선보인다. 또한 ISW(마이닝거 국제 스피릿 상)의 테이스팅 공간과 바도 마련될 예정이다. ProSpirits 바로 옆에 자리잡은 전시홀 7.0에서는 어반 바를 위한 트렌드 특별전 "same but different (같지만 다른)"가 개최된다. 크래프트 스피릿, 크래프트 맥주, 알코올 사이다 분야의 선구자, 트렌드세터, 시장 선도 기업들이 참가하는 이 특별전은 트렌드를 선도하는 레스토랑, 바 및 식품 리테일 관계자들에게 안성맞춤이다. 두 특별전은 많은 관람객을 끌어 모으며 스피릿 분야에 대한 수요를 보여준 바 있다. 업계 소식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뉴스플래시(Newsflash)” ProWein홈페이지(www.prowein.de) 내 뉴스플래시(Newsflash)를 통해 ProWein 2025 관련 최신 소식과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참가사, 새로운 제품, 업계 비하인드 스토리 등을 비롯한 행사 준비 과정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방문 희망 시 ProWein 2025 웹사이트를 통해 입장권을 구매하면 된다. 참관 관련 문의사항은 공식 한국대표부 라인메쎄로 연락하면 된다. (info@rmesse.co.kr, 02-798-4343)  
세계 최대 국제 제과·스낵 전시회 ISM 2025, ‘두바이 초콜릿’ 이을 다음 주자는?
2024.12.19
세계 최대 국제 제과·스낵 전시회 ISM 2025, ‘두바이 초콜릿’ 이을 다음 주자는? - 세계 최대 제과·스낵 전시회, 2월 2일부터 5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 - 약 70개국 1,500여 개 참가사 – 세계 1위 초콜릿 ‘바로니’부터 두바이 초콜릿 원조 브랜드 ‘볼치’까지  - 계속되는 저당·제로 유행, 모든 제품군에서 헬시플레저 선보여 - 특별관 모음집 10.1홀 - 신제품 쇼케이스, 수제 디저트 특별관, 베이킹쇼, 미래식품 테마관 - 입장권 구매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 – 무료 대중교통권 제공     세계 최대 국제 제과·스낵 전시회 ‘ISM 2025’가 내년 2월 2일부터 5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ISM은 독일 식품 전시회 ‘아누가(anuga)’의 제과·스낵 분야 특화 B2B 전시회다. 사탕, 초콜릿, 젤리, 아이스크림, 쿠키, 케이크부터 감자칩, 시리얼, 에너지바 등 각종 디저트와 스낵류를 한 곳에서 만나볼 수 있다. 축구장 15배에 달하는 약 3만 평(100,000 m²)의 전시 면적은 단언 세계 최대 규모로, 업계에서는 무조건 방문해야 할 ‘신년맞이’ 행사로 알려져 있다.      약 70개국 1,500여 개 참가사, ISM 2025가 유독 기대되는 이유 ‘두바이 초콜릿’, ‘피스타치오’, ‘저당·제로’ 등 그야말로 디저트의 한 해였던 2024년, 다가오는 ISM 2025의 참가사에 대한 관심이 여느 때보다 뜨겁다. 약 70개국 1,500여 개 기업이 참가해 최신 제과·스낵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두바이 초콜릿 원조’로 이름을 알린 볼치(bolci)와 다크초콜릿 대표주자 ‘비바니(Vivani)’ 같은 트렌디한 브랜드뿐만 아니라, 세계 1위 초콜릿 바로니(Baronie),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는 밀라노(Millano), 파제르(Fazer)와 로아커(Loacker), 모르는 사람 없는 트롤리(Trolli), 그 외에 람베르츠(Lambertz), 카넬스(Canel’s), 클로타(Cloetta Holland) 등 역사를 자랑하는 굵직한 기업까지 참가해 기대감이 최고조다.    ‘저당·제로 슈가’ 제품의 대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슈가프리가 아닌 제품을 찾기 힘들 정도인 만큼, 헬시플레저(건강을 의미하는 ‘헬시(Healthy)’와 즐거움을 뜻하는 ‘플레저(Pleasure)’의 합성어)는 이제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았다. ISM에서는 초콜릿, 아이스크림, 젤리와 더불어, 팝콘, 잼, 시럽, 쿠키 등 다양한 제로슈가 신제품을 앞서 접할 수 있다.       특별함을 찾는다면, 10.1홀 ‘Lab by ISM’! 신제품 쇼케이스, 수제 디저트 특별관, 베이킹쇼, 미래식품 테마관까지, ‘Lab 5 by ISM’은 달콤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공간이다.    ISM 신제품 쇼케이스(New Product Showcase)는 전 세계 100여 개 신제품을 소개한다. 한 해를 이끌어갈 트렌드를 집약적으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바이어들의 발길이 가장 먼저 향하는 곳이다. 지난해에는 국내기업 나무인터내셔널의 떡볶이 맛 젤리가 전시돼 이목을 사로잡기도 했다.     ISM 신제품 쇼케이스에 소개되는 제품 중 가장 혁신적이고 트렌디한 제품은 ‘ISM New Product Awards Top 3’로 선정된다. 초콜릿 없는 초콜릿 ‘초비바(ChoViva)’는 ISM 2023 수상을 통해 세계 시장에 이름을 알린 바 있다.     수제 디저트 특별관(ISM Finest Creations)은 유럽의 작은 제과점을 연상케 하는 정성스러운 “파인 디저트’를 선보인다. 오리지널 빈즈(Original Beans), 초바초바(CHOBA CHOBA) 등 스위스, 프랑스, 벨기에, 남미 등 전 세계 수제 디저트 브랜드의 세련된 달콤함이 펼쳐진다.    매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진행되는 베이킹쇼(Live Sweets Creation)에서는 유럽 디저트 명가들의 노하우를 맛볼 수 있다. 파티시에가 수제 디저트와 사탕, 초콜릿을 만드는 과정을 현장에서 직접 보고 먹어볼 수 있어, ISM에서 가장 활기 넘치는 행사로 손꼽힌다.      오늘날의 혁신, 신소재식품관(Special Show Ingredients)  대체당 열풍에 이어, 기능성 원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시장 추세에 따라, 스타트업이 내보이는 식품 솔루션과 미래 식품 특별관이 마련된다. 베이킹에 용이한 종이 형태의 고체 오트밀크, 감자로 만든 우유 등 향후 시장을 지배할 미래식품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다. Z 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보다 독특하고 새로운 제품을 찾고 있다면 반드시 들려야 한다.    티켓 하나로, 두 개의 전시를! 제과 포장 및 기자재전 프로스위츠(Prosweets) ISM과 동시 개최되는 제과 포장 및 기자재전 프로스위츠(Prosweets)도 10.1홀에 위치한다. Sollich, Chocotech, Prova 등 약 250개 사가 AI 솔루션과 친환경 포장 솔루션, 지속 가능한 원자재 등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일 전망이다. 최적의 동선으로 제품을 살펴볼 수 있는 키워드별 가이드투어도 진행되며,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다.      전문가의 시선을 엿볼 시간, 컨퍼런스 전시장을 가로지르는 ‘ISM의 거리(ISM Boulevard)’에서는 전문가 강연이 전시 기간 매일 진행된다. 식음료 전문 조사기관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와 글로벌 데이터 기업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이 분석한 2025 제과 및 스낵 트렌드 리포트가 공개된다. SNS 인플루언서와 트렌드 분석가, 파티시에가 연사로 나서는 ‘Sweet Week - Talks & Tasting’은 10.1홀에서 진행된다. ISM 2025는 다각적인 관점을 통해 업계 트렌드를 면밀히 살펴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    세계 최대 제과·스낵 전시회 ISM 입장권 구매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관련 문의는 주최사 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02-798-4105, claire@rmesse.co.kr)에 할 수 있다.   
오는 10월 독일 와인 스피릿 전시회 ProWein (프로바인) 2025 한국 설명회 개최, “달라진 ProWein” 미리본다
2024.10.04
  오는 10월 독일 와인 스피릿 전시회 ProWein (프로바인) 2025 한국 설명회 개최, “달라진 ProWein” 미리본다 -      내년 전시회에 60개국 5천개 와이너리/주류 제조사 참가 -      해외 비중 90%에 달하는 유일무이한 글로벌 주류 전시회 -      더욱 새로워진 전시회 설명회 10월 24일 진행, 신청은 이벤터스에서 -      미하일 데겐 메쎄 뒤셀도르프 이사 방한해 설명회 진행   세계 최대 와인 및 스피릿 전시회인 ProWein 2025가 내년 3월 개최를 앞두고 한국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10월 24일 오찬행사로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진행된다.   ProWein 2025는 “내일의 맛을 발견하다(Discover the taste of tomorrow)”라는 슬로건 처럼 글로벌 주류 트렌드를 선도하는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내년 전시회에 60개국 5천개 이상의 와이너리 및 주류 제조사가 참가할 전망이다.   ProWein은 독일에서 개최되나 해외비중이 약 90%에 달하는 유일무이한 글로벌 주류 산업전이다. 내년 전시관은 이탈리아(2개 홀), 독일(2개 홀), 프랑스(1개 홀 및 샴페인 라운지), 스페인(1개 홀), 포르투갈, 중부/동유럽(1개 홀), 신대륙(1개 홀, 미국, 호주, 칠레, 아르헨티나, 남아공, 우루과이, 중국), 그리스(1개 홀), 오스트리아(1개 홀), 스피릿(2개홀, same but different 특별관)으로 구성되며, 설명회 참석 시 상세한 홀플랜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설명회는 ProWein의 다양한 변화, 새로운 행사에 초점을 맞춘다. 내년부터 트렌드에 민감한 주류업계에 인사이트를 제공할 ‘ProWein 비즈니스 포럼’이 신규 런칭된다. 더욱 확장된 스피릿 특별관인 ProSpirits(프로스피릿츠)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저/무알코올 주류, 샴페인, 화이트와인처럼 트렌딩 주류를 집중 조명하는 행사가 될 전망이다.   한편 ProWein은 가이젠하임 대학 와인산업 연구소와 협업하여 글로벌 리포트를 매년 발행해 왔다. ProWein 비즈니스 리포트는 글로벌 와인 산업을 심층 분석한 자료이며, 발표 시 업계인들의 큰 주목을 받아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내년 초 발표될 리포트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올해의 경우 ‘와인 업계 디지털화’, ‘일본 와인 시장 분석’ 리포트를 발간한 바 있으며 보고서 전문은 ProWein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ProWein은 일반 관람객이 참석할 수 없어 밀도 있는 B2B 비즈니스가 가능하다는 점과 글로벌 와인 및 주류를 한 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내년에도 약 5만 명의 전세계 주류 업계 관계자들을 끌어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ProWein의 경우 방문객 및 참가사의 원활한 전시회 참가를 위해 전시장 주변 호텔과 특별 계약을 맺고 스페셜 오퍼를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설명회 참석 등록 시 확인 가능하다.   설명회 참석은 와인, 스피릿 등 주류 업계 종사자일 경우 가능하다. 이벤터스 홈페이지(https://event-us.kr/m/91426/23296)에서 선착순으로 10월 16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설명회는 오찬행사와 함께 진행되며, 무료로 참석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라인메쎄를 통해 문의할 수 있다. (02-798-4343, info@rmesse.co.kr)  

더 보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