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d your Horizons
미래를 향한 도약,
성공적 해외 진출 플랫폼

필리핀 마닐라 포장/인쇄/플라스틱 전시회

PackPrintPlas Philippines

필리핀 마닐라 포장/인쇄/플라스틱 전시회

필리핀 마닐라 포장/인쇄/플라스틱 전시회

기간
2025.09.18 - 2025.09.20

(개최주기 : 1년)

분야
포장재, 포장용기, 포장용기생산기계, 공정기술, 제본기계, 각종서비스, 인쇄, 프리프린트 및 프리미디어, 인쇄설비, 플라스틱, 플라스틱 제품, 플라스틱 가공, 플라스틱 생산기계, 플라스틱 기술
장소
SMX Convention Center
홈페이지
globallinkmp.com/packprintplas
참가사(Exhibitor)
담당자 메일주소
Kyui@rmesse.co.kr
안내자료
방문객(Visitors)
안내자료

통계

2023년도

참가사

0개국 350개사

방문객

0개국 10,872명

전시면적

10,000 ㎡

얼라이언스 전시회

알제리 인쇄포장 전시회
printpack alger
알제리 인쇄포장 전시회

2026.03.30 - 2026.04.01

Palais des Expositions d’Alger – SAFEX
이집트 카이로 포장 전시회
Pacprocess Middle East Africa
이집트 카이로 포장 전시회

2025.12.09 - 2025.12.12

Egypt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태국 방콕 포장 인쇄 전시회
PACK PRINT INTERNATIONAL
태국 방콕 포장 인쇄 전시회

2025.09.17 - 2025.09.20

방콕
중국 상하이 포장 전시회
Shanghai World of Packaging (SWOP)
중국 상하이 포장 전시회

2025.11.25 - 2025.11.27

상하이
인도 뭄바이 포장 전시회
Pacprocess India
인도 뭄바이 포장 전시회

자세한 일정 차후 결정

뭄바이
독일 뒤셀도르프 포장 부품 전시회
components (컴포넌츠)
독일 뒤셀도르프 포장 부품 전시회

2026.05.07 - 2026.05.13

Messe Düsseldorf Exhibition Centre
독일 뒤셀도르프 포장 전시회
interpack (인터팩)
독일 뒤셀도르프 포장 전시회

2026.05.07 - 2026.05.13

Messe Düsseldorf Exhibition Centre
알제리 인쇄포장 전시회
printpack alger
알제리 인쇄포장 전시회

2026.03.30 - 2026.04.01

Palais des Expositions d’Alger – SAFEX
태국 방콕 포장 인쇄 전시회
PACK PRINT INTERNATIONAL
태국 방콕 포장 인쇄 전시회

2025.09.17 - 2025.09.20

방콕
중국 상하이 인쇄 전시회
All in Print
중국 상하이 인쇄 전시회

2026.10.12 - 2026.10.16

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re(SNIEC)
독일 뒤셀도르프 인쇄 전시회
drupa (드루파)
독일 뒤셀도르프 인쇄 전시회

2028.05.09 - 2028.05.17

Messe Düsseldorf Exhibition Centre
콜롬비아 보고타 플라스틱/고무 전시회
colombia plast
콜롬비아 보고타 플라스틱/고무 전시회

2026.09.21 - 2026.09.25

International Business and Exhibition Center of Bogotá
알제리 플라스틱 고무 전시회
plast alger
알제리 플라스틱 고무 전시회

2026.03.30 - 2026.04.01

Palais des Expositions d’Alger – SAFEX
독일 뒤셀도르프 플라스틱 및 고무 전시회
K (케이)
독일 뒤셀도르프 플라스틱 및 고무 전시회

2025.10.08 - 2025.10.15

Messe Düsseldorf Exhibition Centre

관련산업 소식

K 2025, 플라스틱 산업의 다음 10년을 여는 열쇠, 한국에서 미리 만난다
2025.04.10
  K 2025, 플라스틱 산업의 다음 10년을 여는 열쇠, 한국에서 미리 만난다 -      국내 업계를 위한 K 2025 설명회, 5월 14일 서울에서 열린다 -      기술·환경·사람을 연결하는 세계 최대 산업 플랫폼 -      순환경제부터 디지털 전환까지, K가 제시하는 미래 전략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플라스틱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특히 재활용 기술과 바이오 기반 소재 개발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 플라스틱 산업은 전통적인 석유화학 산업의 한계를 뛰어넘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는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이 2032년까지 1,07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으며, PwC 조사에 따르면 77%의 소비자들이 재활용 소재로 만든 제품에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플라스틱 산업이 단순한 소재 산업을 넘어, 지속가능성과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 축으로 진화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플라스틱·고무 산업 전문 전시회 ‘K 2025’(독일 뒤셀도르프)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3년에 한 번 열리는 이 전시회는 ‘순환경제’, ‘디지털화’,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사람’)’이라는 세 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 기술 혁신과 글로벌 비즈니스 교류의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K 2025의 대주제는 다음과 같다. - 순환경제: 재활용 기술, 폐기물 최소화, EU 순환경제 정책 대응 - 디지털화: 생산 공정 자동화, 품질 관리, 공급망 최적화 기술 - 사람: 친환경 소재를 통한 사회적 책임 실현, 젊은 인재 육성 등   주최사 메쎄 뒤셀도르프의 운영총괄이사 마리우스 베를레만이 연사로 참석한다 VDMA 플라스틱/고무 위원회 이사이자 K 자문위원장 울리히 라이펜호이저(맨 오른쪽)    이를 국내에 알리고 한국의 플라스틱 및 고무 산업 종사자의 방문을 촉진하기 위한 공식 설명회가 오는 5월 14일 (수)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전시회 구성(대주제, 전시 품목, 특별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함께, 글로벌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최신 트렌드 및 기술 동향이 소개될 예정이다. 연사로는 전시 주최사 메쎄 뒤셀도르프의 운영총괄이사 마리우스 베를레만과 VDMA 이사이자 K 전시회 위원장 울리히 라이펜호이저가 참석한다.   특히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위한 전략 수립이 중요한 시점에서, 이번 방문객 대상 프리뷰 설명회는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설명회 신청은 이벤터스 사이트(event-us.kr)를 통해 무료로 등록 후 참석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메쎄 뒤셀도르프 공식 한국대표부 라인메쎄로 문의하면 된다. (sjlee@rmesse.co.kr, 02-798-4103)     ● 설명회 신청 바로가기: https://event-us.kr/m/101539/33192    
세계 최대 포장전시회 ‘interpack 2026’, “참가사 등록 서두르세요!”
2025.02.17
  세계 최대 포장전시회 ‘interpack 2026’, “참가사 등록 서두르세요!” -      참가사 등록 오는 2월 28일까지 -      전 세계 바이어와 직접 연결되는 B2B 플랫폼, 참가사 만족도 87%에 달해 -      61개국 2,728개 사 참가, 176,811 sqm 규모 -      156개국 142,060명 방문, 방문객 해외 비중 74% 기록적 수치   세계 최대 포장 산업 전시회 ‘interpack 2026 (인터팩)’이 오는 2026년 5월 7일부터 13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된다. 내년 전시 개최를 앞두고 참가사 등록이 진행 중이다.   interpack은 포장 기술, 가공 기계, 인쇄 및 물류 솔루션에 이르는 포장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전시회이다. 지난 2023년도 전시회에 61개국 2,728개의 기업이 참가하고, 156개국에서 14만 명 이상이 방문했다.     전시회 국제성 74%에 달해…비즈니스 결정권자 비율 82% 이상 interpack의 해외 방문객 비중은 74%에 달하며, 결정권을 가진 진성 바이어는 약 82%에 이른다. 상위 10개 방문국가에 이탈리아, 네덜란드, 튀르키예, 스페인, 인도, 벨기에, 일본, 영국, 폴란드, 미국이 포함된다. 방문객들의 주요 관심사는 ‘포장용 공정 및 기계(식품, 음료, 주류, 컨펙셔너리, 베이커리, 제약, 화장품, 소비재)’ 분야가 83%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뒤이어 ‘포장재료/도구’, ‘라벨링 및 마킹기술을 위한 공정 및 기계’, ‘통합 패키징 인쇄’ 품목이 주목을 받았다.   친환경 소재부터 스마트 패키징까지 최근 포장 산업은 ‘지속가능성’, ‘자동화’,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포장 및 포장폐기물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재활용 가능 소재, 생분해성 포장, 플라스틱 저감 기술 등이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패키징, AI 자동화가 확산되면서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실현하는 기술이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다.   interpack 전시회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글로벌 혁신 기술이 총망라되는 자리다. 지난 해와 동일하게 전시장은 식품, 음료, 제과 및 베이커리, 제약, 화장품, 비식품 및 산업용 제품 등 산업 별로 나뉜다. 주요 전시품목은 포장 기계 및 가공 기술, 포장 용품, 포장 재료 및 보조 도구, 포장 용품 생산, 마킹 기술 및 라벨링, 창고 관리, 물류 및 운송 기술 등이다.     해외 마케팅 최적지로 평가, 참가사 만족도 87%에 달해 글로벌 스마트 패키징 시장은 2033년까지 연평균 6.20% 성장률로 46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친환경 패키징 역시 5.05% CAGR로 2032년에 4,627억 달러로 팽창이 예측된다.   이처럼 강력한 성장동력을 바탕으로, interpack 2026에 전 세계 주요 바이어가 운집할 전망이다. interpack은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네트워킹 및 시장의 요구를 직접 파악할 수 있는 이벤트로 평가된다. 이를 반증하듯 지난 전시회 참가사 만족도는 87%를 기록했다.   포장부품전 'components (컴포넌츠)'와 동시 개최 interpack 포장부품산업전시회 'components (컴포넌츠)'가 함께 개최된다. 'components'는 포장 및 가공 산업의 핵심 부품, 기술 및 솔루션을 집중 조명하는 전문 전시회로, 구동 장치, 센서, 제어기술, 소프트웨어, 자동화 시스템 등 포장 기계 및 설비에 필수적인 부품과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이다. interpack과 동시 개최됨에 따라, 포장 기계 제조업체와 부품 공급업체 간의 협력 기회를 극대화하고, 보다 혁신적인 포장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될 전망이다.   참가 등록 2월 28일까지…기한 내 등록 권장 Interpack 2026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2025년 2월 28일까지 등록할 수 있다. 스타트업존 신청은 법인설립 10년 이내, 임직원 수 100명 이내, 연매출 150억 원 조건을 만족 시 신청 가능하다.   interpack은 전 세계 포장 기업들의 높은 참여율로 경쟁이 치열한 만큼 기한 내 등록을 권장한다. 참가 등록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참가신청 시 부스배정 요청사항을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지난 회차 참가기업 조회, 참가 예상비용 계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신청 관련 문의는 interpack 공식 한국대표부 라인메쎄를 통하면 된다. (info@rmesse.co.kr, 02-798-4343)    
방문객 90%가 입증한 밸브산업 필수 플랫폼, 독일 ‘VALVE WORLD EXPO 2024’ 성료
2024.12.16
방문객 90%가 입증한 밸브산업 필수 플랫폼, 독일 ‘VALVE WORLD EXPO 2024’ 성료 -       스마트 밸브 시스템부터 표준화까지: 최신 트렌드 총집합 -       디지털 ecoMetals 트레일: 지속 가능한 제조 혁신 탐구 -       전 세계 35개국 572개 밸브, 엑추에이터, 씰, 포지셔너 제조사 참가 -       밸브 스타즈 어워드, 밸브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글로벌 밸브 산업의 핵심 행사인 독일 ‘Valve World Expo 2024 (밸브월드엑스포)’가 지난 12월 3일부터 5일까지 성황리 개최됐다. 올해 전시회 대주제 ‘지속가능성’, ‘자동화와 디지털화’, ‘표준화’를 실현할 다양한 솔루션이 출품됐다.   Valve World Expo 2024에 밸브, 엑추에이터, 씰, 포지셔너, 밸브 관련 액세서리 분야 35개국 572개 기업이 참가했다. 수처리, 해양, 석유화학, 가스, 정유, 에너지, 조선, 발전소, 플랜트 산업에 쓰이는 정밀 제어 밸브, 높은 안전성, 높은 효율성을 갖춘 제품이 대거 선보였다.   한국 참가사,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 증명 이번 전시회에 한국 기업들이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선보이며 해외 시장 공략에 집중했다. 반도체, 정밀화학 등 불소수지 라이닝 밸브 전문 ‘플로닉스’, 종합 밸브 자동화기기 전문 기업 ‘에치케이씨(HKC)’, 국내 최초 스프링 리턴 엑추에이터를 개발한 전동 액추에이터 전문기업 ‘노아엑츄에이션’, 콘트롤 밸브용 포지셔너 및 제어기기 리딩기업 ‘티씬’을 비롯해 전체 13개 사가 참가했다. 국내기업을 비롯해 올해 전체 참가사 및 전시품목은 valveworldexpo.com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부대행사, 혁신 기술 발표와 교류의 중심 올해 역시 방문객을 위한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이어졌다. 에코메탈(ecoMetals)은 자원절약, 탄소배출저감 솔루션을 리딩하는 기업들을 모은 프로그램으로, 화학, 석유/가스, 수처리 분야 방문객들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참가 기업 목록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밸브 스타즈 어워드’는 주요 4대 영역에서 2024년을 빛낸 기업을 선정했다. 액추에이터 부문에서 AUMA Group이 방폭 국제 인증, 높은 SIL 기능 및 극한 기후 조건 맞춤형 제품으로 수상했다. 높은 에너지 효율성 제품을 자랑하는 KSB 사에서 최고의 씰 상을 받았고, 자동화 부문은 METRUS 사가 고품질 솔루션을 통해 수상했다. 최고의 밸브 영예는 글로벌 시장 선도기업인 에머슨(Emerson) 사에게 돌아갔다.   전 세계적인 숙련공 부족 현상 타계를 위한 ‘하이포텐셜 데이즈’도 큰 주목을 받았다. 해당 행사는 젊은 인재들과 기업을 잇는 가교 역할을 수행했다.   동시 개최된 밸브월드컨퍼런스 행사에 400명 이상이 참가해 디지털화, 보안, 신소재 등 핵심 이슈에 대한 워크샵과 패널토론이 활발히 이뤄졌다.     재방문 의사 90% 이상, 밸브산업 필수 플랫폼 증명 밸브 전시회는 해외 참관객 비중이 70%에 달하는 국제 전시회이다. 올해 행사에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 베네룩스, 튀르키예, 이집트, 스페인, 인도,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 각국 구매력 있는 바이어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트렌드 및 기술 파악을 위해 원자력 등 플랜트 관련 기관, 자동차 부품 제조사, 건설 등 응용분야를 비롯해 밸브 및 엑추에이터 제조사에서 다수 참관했다.   Valve World Expo 2024 방문객의 90% 이상이 2년 후 재방문 의사를 밝혔다. 차기 전시회는 2026년 12월 1일부터 3일까지 개최된다. 2026년 전시회 참가사 등록은 현재 진행 중이다. 올해 참가사의 경우 25년 1월 31일까지 등록 시 기존 자리 선점과 같은 재등록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공식 한국대표부 라인메쎄를 통하면 된다. (info@rmesse.co.kr, 02-798-4343)    

더 보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