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and your Horizons
미래를 향한 도약,
성공적 해외 진출 플랫폼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

REHACARE CHINA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

기간
2025.08.20 - 2025.08.22

(개최주기 : 매년)

분야
간호용품, 재활치료, 이동 및 보행 보조기구, 보호의류, 편의장치, 신체훈련, Barrier Free
장소
Suzhou International Expo Centre
홈페이지
rehacare-c.com/en
방문객(Visitors)
안내자료

전시회 사진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2번 상세이미지
2번 전시회 사진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3번 상세이미지
3번 전시회 사진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4번 상세이미지
4번 전시회 사진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5번 상세이미지
5번 전시회 사진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6번 상세이미지
6번 전시회 사진
중국 쑤저우 재활 복지 산업 전시회7번 상세이미지
7번 전시회 사진

얼라이언스 전시회

관련산업 소식

“글로벌 의료 시장 선점하세요”…MEDICA 2025 참가사 등록 중
2025.02.21
“글로벌의료시장선점하세요”…MEDICA 2025 참가사등록중 -          세계최대의료산업플랫폼…72개국 5,800개기업참가 -          165개국 8만명방문, 의사결정권자방문71% 이상, 실질적계약체결기회 -          COMPAMED 동시개최, 부품·기술·솔루션을아우르는종합플랫폼 -          AI 기반의료기기, 로봇수술, 원격진료등최신의료기술과미래헬스케어트렌드한눈에     세계최대의료기기전시회 ‘MEDICA 2025 (메디카)’가오는 11월 17일부터 20일까지독일뒤셀도르프에서개최된다. 참가사등록은현재진행중이며, 접수마감은 3월 3일까지이다.   실질계약체결지로각광받아…참가사만족도 90% 이상 MEDICA는단순한제품전시를넘어, 글로벌의료산업의최신트렌드를선도한다. 참가기업들은전시회를통해신규거래선확보, 국제시장진출, 파트너십구축등의기회를얻을수있으며, 브랜드홍보효과를극대화할수있다.  이같은장점덕에지난전시회참가사만족도는 90% 이상을기록해비즈니스플랫폼인메디카의위상을재입증했다.   차세대의료기술대거참가 MEDICA 주요전시분야는영상및진단의료기기, 병원설비, 실험실장비, IT 시스템및솔루션, 물리치료및정형외과기기, 의료소모품등이다. 특히나 2025년 MEDICA에서는 AI 기반의료기기, 로봇수술, 원격진료등차세대의료혁신기술이대거소개될예정이다. 또한친환경및지속가능한의료기기, 디지털헬스케어솔루션등미래의료시장을주도할다양한기술들이전시될것으로기대된다.   MEDICA 방문객들의주요관심분야로는영상및진단의료기기가 80%로가장높았으며, 의료소모품은 31%, 실험실장비및진단테스트분야는 27%로나타났다. IT 시스템및솔루션분야는 15%, 물리치료및정형외과기술분야는 13%를차지했다. 동시개최되는 COMPAMED 방문객들은부품제조(55%), 완제품제조(38%), 구성품/모듈/OEM 장비(38%), 원자재및접착제(37%), 제조장비(27%) 순으로관심을보였다.     세계최대의료전시회…진성바이어비율 71% 넘어 2024년 MEDICA 개최당시전시기간중 60만명이공식홈페이지를방문했으며, 참가사및제품검색횟수는 340만회에달했다. 특히, 방문객중 71%가구매결정권을가진의사결정권자로, 참가기업들에게실질적인비즈니스기회를제공하는요소로작용하고있다.   주요방문국으로는독일, 네덜란드, 중국, 이탈리아, 영국및북아일랜드, 미국, 프랑스, 인도, 스페인, 벨기에등이포함된다. 해외방문객비율이 76%나되며, 유럽이 65%로가장많은비중을차지했다. 아시아지역방문객 22%, 아메리카대륙 9%, 아프리카대륙 4%, 호주방문객은 1%이다.   지난 MEDICA 2024에는 165개국에서약 8만명이상이방문했으며, 72개국 5,800개기업이참가했다. 2025년역시글로벌의료산업을선도하는기업및바이어들이대거참석할것으로예상된다.     COMPAMED 및글로벌전시회네트워크 MEDICA와함께개최되는 COMPAMED는의료부품및기술전문전시회로, 의료기기제조업체들에게필수적인플랫폼이다. 또한, MEDICA는인도, 중국, 태국, 콜롬비아, 싱가포르, 브라질등전세계여러국가에서의료기기, 재활, 치과기자재분야전시회를운영하며글로벌네트워크를확장하고있다.   참가신청및문의안내 MEDICA 2025 참가신청은공식온라인홈페이지에서가능하며, 참가비견적및지난전시회참가업체정보도확인할수있다. 디지털헬스분야를대상으로하는스타트업파크는설립 5년이하, 임직원 20명이하, 연간매출 300만유로이하의스타트업이신청할수있다. 한국참가기업들은국가공동관을통해보다경제적인비용으로부스를운영할수있다. 공동관주관사리스트는라인메쎄홈페이지에서확인가능하다.   MEDICA는오는 3월개최되는 KIMES 국제의료기기전시회에참가한다. 전시회참가및방문관련문의가있을시한국대표부라인메쎄부스(A514)에서확인할수있다. 또는공식문의처를통하면된다. (info@rmesse.co.kr, 02-798-4343)  
독일 쾰른 국제 치과기자재전 IDS 2025 오는 3월 개최, “치과 산업 이끌어갈 혁신 기대”
2025.02.13
독일 쾰른 국제 치과기자재전 IDS 2025 오는 3월 개최, “치과 산업 이끌어갈 혁신 기대” - 오는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 - 약 60개국 2,000개 사 참가; 스트라우만, 덴츠플라이 시로나, 플란매카, 악티온, 엑소캐드, 솔벤텀, 3셰이프 등 - 오스템 임플란트, 바텍, 레이, 메가젠, 메디트, 덴티움, 코웰메디, 그래피, 포인트임플란트, 네오바이오텍에 치산협 공동관까지, 국내 약 200개사 참가 - IDS 온라인 플랫폼 IDSconnect 오는 3월부터 활성화  - 입장권 구매는 IDS 홈페이지에서 가능; 무료 대중교통증 제공   독일 쾰른 국제 치과기자재전 IDS가 오는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41회를 맞은 IDS는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한다. 오랜 기간 ‘덴탈 산업을 대표하는 전시회’로 명성을 이어온 만큼, 매회 세계 유수의 기업이 최신 기술과 혁신을 선보인다. 격년마다 개최되는 IDS는 독일 치과기자재협회(VDDI)와 독일 치과기자재 산업진흥원(GFDI)가 주최하고, 쾰른메쎄(Koelnmesse)가 주관한다.  IDS 2025에서 약 60개국에서 2,000개 사를 만나볼 수 있다. A-dec International (미국),  ACTEON (프랑스), ADIN (이스라엘), Align Technology (스위스), ARGEN Dental (독일),  CEFLA S.C. (이탈리아), Dentsply Sirona (독일), Dentsply Sirona (독일), Exocad (독일),  Henry Schein (독일), KaVo Dental (독일), Planmeca (핀란드), Solventum (독일), Straumann (독일), 3Shape (덴마크), W&H Deutschland (독일) 등 각 분야 리딩 기업이 한자리에 모인다. 주목할 만한 신생기업과 스타트업까지 더해져, 참신한 아이디어와 새로운 시각도 기대해 봄 직하다.   참가사 해외 비중 75%를 웃도는 높은 국제성은 IDS의 강점이다. 세계 치과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는 개최국 독일을 비롯해 중국, 한국, 이탈리아, 미국, 튀르키예즈, 스페인, 프랑스, 스위스 등 주요국이 전부 모인다. 한국, 호주, 아르헨티나, 브라질, 불가리아, 홍콩, 이스라엘, 이탈리아, 싱가포르, 미국 등 전 세계를 아우르는 12개 국가관은 IDS의 국제성을 한층 강화한다.      한국은 덴탈산업의 혁신을 선도하는 만큼, 올해 약 200개 사 이상 참가한다. 오스템 임플란트, 바텍, 레이, 메가젠, 메디트, 덴티움, 코웰메디, 그래피, 포인트임플란트, 네오바이오텍 등 글로벌 시장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는 국내 기업에 글로벌 바이어의 기대가 모이고 있다.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는 공동관 운영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판로를 확장한다.  IDS는 비즈니스를 위한 단순 플랫폼을 넘어, 치과 의료 기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장이다. 시즌입장권은 24유로, 1일권은 15유로로 책정해 진입장벽을 낮추고 접근성을 높였다. 마쿠스 하이바흐 박사 (Dr. Markus Heibach) 독일치과기자재산업협회(VDDI) 대표이사 겸 독일치과기자재산업진흥원(GFDI) 대표는 지난 10월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거의 모든 곳에서, 어떤 지역이든, 적절한 치과 치료 기술이 보급되어야 하며, 치과 산업은 유연성을 바탕으로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IDS는 기초적인 치료 서비스부터 최첨단 기술 치료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제품을 선보임으로써, 개별 국가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기술을 보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IDS의 핵심 가치를 강조했다.    3월 초부터 제공될 IDS 온라인 플랫폼 IDSconnect는 교육 세션, 온라인 세미나, 기업 및 제품 소개 등 다양한 디지털 옵션을 제공한다. 전시 개최 이전에 참가사와 미팅을 조율하는 네트워킹 기능은 일정 관리부터 미팅 후 팔로업까지 지원한다.  IDS 2025는 새로운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2만 명 이상의 기자들의 현장 취재와 10억 건 이상의 미디어 보도 등 IDS가 선보일 영향력에 다시 한번 귀추가 주목된다. 세계 최대 치과기자재전 ‘IDS 2025’ 입장권은 IDS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할 수 있다. IDS 참가 및 참관에 관한 사항은 주최사 쾰른메쎄의 한국대표부 라인메쎄(02-798-4105, claire@rmesse.co.kr)에 문의하면 된다.   
의료 혁신 펼쳐진 독일 ‘MEDICA 2024 (메디카)’, 전 세계 8만 방문객 모으며 성료
2024.11.27
  의료 혁신 펼쳐진 독일 ‘MEDICA 2024 (메디카)’, 전 세계 8만 방문객 모으며 성료 -       AI 접목 디지털 헬스케어, 로봇 기술 집중 조명 -       스마트병원 인프라 구축을 위한 ‘미래의 병원’ 특별관 주목 -       한국 의료혁신, 세계 무대서 빛나 - 329개 기업 참가, 11개 공동관 구성       지난 11월 11일 - 14일 독일 뒤셀도르프 의료기기전시회 ‘MEDICA 2024(메디카)’가 성황리 종료됐다. 자타공인 세계 최대 전시회 답게 독일, 미국, 영국, 이탈리아, 터키, 인도, 일본, 중국 등 72개국 5,800개 참가업체가 최신 기술을 선보였고, 전 세계 165개국 8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끌어 모았다.   MEDICA는 전체 5개 테마(△디지털 헬스, △소모품, △랩 기술 및 진단, △의료기술 및 의료기기, △피지오 테크)로 나눠, 총 18개 홀에서 개최됐다. 동시 개최된 COMPAMED 2024 (컴파메드)는 의료기기 제조를 위한 첨단 기술과 부품 솔루션을 집중 조명하며 업계 전문가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AI, 로봇 비롯해 최첨단 기술 향연 올해 MEDICA에 전 세계 주요 의료기기 강국들이 대거 참가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선보였다. AI 기반의 진단 솔루션, 최소침습/비침습수술용 차세대 로봇 수술 시스템, 중재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등 다양한 혁신 아이템이 출품됐다.   KUKA는 10홀에 참가하여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용 메디컬 로봇, 정형외과 수술을 위한 협동로봇 솔루션을 선보였다.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개두술에서 사용되는 드릴과 커터를 대체할 레이저기술을 제시했다. 정밀한 모니터링으로 진동이 거의 없는 ‘조용한 개두술’을 통해 환자의 트라우마 방지와 빠른 회복을 돕는다. 13홀의 WT Show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특별관에서 45개 사가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스웨덴 기업인 Flow Neuroscience 사는 헤드셋으로 경두개직류전류자극술(tDC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을 활용한 우울증 치료 솔루션을 선보였다. 또한 한국의 스카이랩스(Sky Labs)사에서 첨단 바이오센서를 장착한 반지형 커프리스 혈압측정기를 출품했다. ‘스타트업 파크’는 전체 25개 사로 구성됐고 국내에서는 두 개사가 참가했다. 시각 AI 전문 기업 엠디에이(MDA)사에서는 맞춤형 의료재활, 웰니스 솔루션을 AI 동작인식 분석을 통해 제공하는 ‘아이미러(i-Mirro)’ 솔루션을 선보였다. 또한 오렌지바이오메드(Orangebiomed) 사는 당뇨병 관리 접근성을 높여 줄 휴대용 당화혈색소 측정기를 출품했다.   올해 참가사 및 전시품목은 MEDICA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의료기기의 세계적 위상 빛나 이번 MEDICA 2024에 공동관 11개, 개별 기업 168개사, 공동관 161개사를 합해 전체 329개 기업이 참가해 한국 의료기기의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성을 알렸다. 공동관은 3D융합산업협회(5개 사),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2개 사),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6개 사), 한국광융합산업진흥회(8개 사), 한국반도체산업협회(5개 사),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6개 사), 한국로봇산업진흥원(5개 사),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16개 사), 강원테크노파크(6개 사), 대구테크노파크(15개 사),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87개 사)이 참가했다.   COMPAMED 2024에는 지엔엠텍(Oil-less 진공펌프 및 공기 압축기 제조), 코스와이어(스테인리스 와이어 선도 및 산업용 와이어 전문 제조), 엠테크놀로지(Oil-less 피스톤 압축기 및 진공 펌프 제조), 티엠디랩(SMP 바탕 신소재 의료기기/첨단 바이오 의약품 연구 개발)까지 국내 4개 기업이 참가했다.   특히 올해 전시회에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이 협력하여 ‘미래의 병원’ 특별존에서 ‘AI 건강검진’ 솔루션을 선보였다. 매일 수백 명의 전 세계 정부, 의료계 관계자가 특별관을 찾았으며, 시스템 도입 문의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13홀에서 개최된 ‘미래의 병원’ 특별존은 병원 디지털 인프라 구축, 환자 데이터 고도 지능화를 통한 시스템 효율성 증대, 원격 중환자실 시스템,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 및 치료 등 향후 의료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 밖에도 MEDICA는 미래 의료산업을 주제로 다채로운 부대행사를 진행했다. ‘안전 운전의 미래’ 테마존에서는 운전자의 건강을 모니터하는 첨단 센서 솔루션이 제시됐다. 또한 피트니스, 스포츠 재활 혁신을 담은 스포츠허브를 비롯해 다양한 포럼 및 컨퍼런스 행사가 마련돼 업계에 인사이트를 전했다.     방문객 만족도 90% 이상, 차기 전시 기대감 고조 주최사인 메쎄 뒤셀도르프에 따르면 올해 방문객의 90% 이상이 전시회에 만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도 다수의 의료기기 제조, 수입, 유통 기업, R&D 연구소, 대학, 병원 등 업계 관계자들의 부지런한 발걸음이 이어졌다. 올해 MEDICA를 방문한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서는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트렌드를 살펴볼 최적지”로 MEDICA를 평가했다. 또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인공지능 디바이스, 진단 솔루션이 눈에 띄었다. 중재의료기기 분야, 의료용 로봇 분야 발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소감을 전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벤처, 스타트업 기업이 배치된 혁신관을 살펴보고 여러 주제의 포럼 행사에 참석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평가했다.     차기 전시회는 “Meet Health. Future. People.”라는 새로운 모토 아래 세계 의료기기 혁신을 다시 한 자리에 모은다. MEDICA 2025는 2025년 11월 17일부터 2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 국제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참가사 등록은 현재 오픈돼 있으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참가 등록 및 관련 문의는 한국 공식대표부 라인메쎄로 연락할 수 있다. (info@rmesse.co.kr, 02-798-4343)    

더 보기

검색 닫기